장비 성능 및 효율분석
            장비의 성능 평가를 통해 장비의 고장 및 이상징후를 조기에 발견하여 장비 운영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.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분석을 통한 소비량의 가감률 평가
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탄소배출량 예측 및 분석
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열원,반송장비 사용량 분석
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장비 계통별 효율 분석
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실내환경 효율분석
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실내 쾌적성 평가
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열원 장비 효율분석 및 평가
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열반송 장비 효율분석 및 평가
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공조설비 효율분석 및 평가
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장비 성능 평가를 통한 이상징후 감지
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장비 성능 지표의 트렌드 분석
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장비 성능 저하 조기 감지 활용 (COP.냉동기 성능 계수) 
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효과적인 의사결정 지원
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 
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 
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 
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 
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 
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
        
        
            FDD (Fault Detection Diagnosis.고장검출 및 진단) 기능
            장비 운영상태에 따른 규칙 기반으로 한 분석을 통해 결함의 원인을 초기에 검출하거나 방지하여  부적절한 운전과 고장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에너지 낭비, 환경 저해, 부품의 손상 등을 막을 수 있어 시스템을 최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습니다.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
FDD 개발특징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IEA ANNEX 25, NISTIR 7365 기준으로 국내 실정에 맞는 FDD 기술 개발
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열원 및 공조 장비의 범용적이고 표준화된 설비 시스템 구성
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센서의 오류검증을 위해, 각 센서 별 Fault의 이중화 구축
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고장의 발견에 적합하고, 고장의 원인이나 위치를 찾아내는데 유리한 Bottom-up 방식 적용
 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
FDD(고장진단)설정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규칙기반(Rule-Based)을 중점으로 한 고장진단 기술
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전문가 진단 규칙을 이용
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장비 및 센서의 동작지수와 결정치 사이의 관계인 규칙을 이용
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설비의 제어방법과 허용범위에 대한 진단 규칙
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로직빌더를 통한 오류감지 Rull set 설정
 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
        
        
            통합 3D view 환경 구현
            건물 내 장비 별 위치에 모델링 오브젝트를 배치하여 장비를 표현하여 고도의 전문가가 아니여도 BEMS를 운영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.
     		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
BIM 기반의 3D 데이터 활용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BIM 설계데이터를 기반으로 3D  모델 데이터를 생성
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생성된 3D 기준으로 건물 재질 및 설비 배치 가공하여 표현
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3D Bim 설계 자료 제공 필요
 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
3D HMI 모니터링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3D UI 제공으로 업무 효율 향상
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3차원 공간모델을 가시화 하여 직관적인 시설운영관리 가능
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건물, 층,주요실, 주요 장비 3D 표출
 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
3D HMI 제어 연계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3D UI 제공으로 업무 효율 향상
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공간기반으로 다양한 서비스 기계설비, 조명, 전력제어 연계